• 아이콘 별실시간 접속자 수
  •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슬롯시대 커뮤니티!

슬롯시대 고객님들과 함께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슬롯시대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함께하세요.

카카오, '몸값 11조' 카카오엔터 판다

컨텐츠 정보

본문

사우디 국부펀드·GIC 등
주요 주주들에 서한 보내

하이브·엔씨·크래프톤 인수후보
투자 시점과 회수 전략 달라
통매각은 쉽지 않을 듯


카카오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추진한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침체해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고 상장하기 어려워지자 내린 결정이다. 카카오엔터 몸값은 11조원 수준으로 거론된다. 회사가 보유한 지식재산권(IP)을 눈여겨본 대형 엔터테인먼트사와 게임사, 대형 사모펀드(PEF)가 인수 후보군으로 꼽힌다.

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앵커에쿼티파트너스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싱가포르투자청(GIC) 등 카카오엔터 주요 주주에 서한을 보내 경영권을 매각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카카오엔터는 2019년 카카오페이지 시절부터 IPO를 준비했으나 쪼개기 상장 등 각종 논란으로 상장 작업을 중단했다. 카카오가 IPO 대신 경영권 매각을 택한 건 현재 시장 상황에선 상장하더라도 제대로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나스닥 상장도 타진했지만 쉽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카카오엔터는 뮤직(연예기획), 스토리(웹툰 웹소설), 미디어(제작사) 등 크게 세 가지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웹툰과 카카오페이지, 멜론 등이 대표적인 사업이다. 카카오는 지난해 1조812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1조8735억원) 대비 3.2%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806억원으로 2023년(692억원)보다 16.5% 증가했다.

하지만 SM엔터 인수 과정에서 창업자인 김범수 전 의장과 주요 경영진이 수사를 받거나 법정 구속되는 등 풍파를 겪으며 카카오는 창업 이후 최대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저금리 시기 공격적인 M&A로 사세를 무리하게 확장한 후유증도 적지 않았다. 무리한 기업가치로 인수한 기업들이 인수 직후 실적이 급락하는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모회사인 카카오의 부담으로 이어져 결국 매각을 통한 현금화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카카오엔터 최대주주는 카카오(66.03%)다. 그다음으로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건 홍콩계 PEF 앵커PE(약 12%)다. 이외에 앵커PE와 GIC가 함께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이 6.73%, PIF가 5.1%를 보유 중이다. 중국 텐센트도 약 4.5%를 갖고 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116668

카카오, '몸값 11조' 카카오엔터 판다 | 인스티즈

카카오 '몸값 11조' 카카오엔터 판다

▶마켓인사이트 4월 8일 오후 5시 31분 카카오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을 추진한다. 기업공개(IPO) 시장이 침체해 기업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고 상장하기 어려워지자 내린 결정이다. 카카오엔

n.news.naver.com




외국으로 팔려가지 않으면 좋겠는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증업체 off보증업체 커뮤니티 off커뮤니티 홈 off 정보 off정보 로그인 off로그인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