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 유형 T와 F 공감 방식 차이점
컨텐츠 정보
- 3 조회
- 0 추천
- 목록
본문
https://ruleryouaos.tistory.com/2#google_vignette

MBTI 유형 T와 F 공감 차이점 (MBTI Type T and F Empathy Differences)
MBTI Type T and F Empathy Differences MBTI(엠비티아이) 유형 T와 F의 공감에서 오는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판단기능에서 T (Thinking) 생각, 사고, 논리, 객관 F (Feeling) 느낌, 감정, 감성 MBTI
ruleryouaos.tistory.com
MBTI(엠비티아이) 유형 T와 F의 공감에서 오는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T (Thinking): 생각, 사고, 논리, 객관
F (Feeling) : 느낌, 감정, 감성
T유형은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판단한 뒤 행동으로 옮김
F유형은 감정을 먼저 느끼고 감성적인 행동으로 발현됨
여기서부터 사실, 결론은 어느 정도 정해져 있습니다.
'T는 공감을 못한다.', ’너 T야?' 라는 말이 있습니다.
반대로
'F는 공감을 못한다.', ‘너 F야?' 라는 말은 거의 쓰이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공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 타인의 상황을 인지하고 공감해 주는 것
문제 해결에 초점, T 유형의 공감 방식
정서적 공감 : 타인의 감정에 공감을 해주는 것
김정 자체에 초점, F 유형의 공감 방식
T 성향이 T 성향에게 "너 공감 못한다"라고 말한다면?
그게 농담이 아니라면, 아마 그 말한 사람은 공감의 개념 자체를 잘 이해 못한 상태일 수 있어요.
F 성향이 T 성향에게 "너 공감 못한다"고 말한다면?
그건 T 유형의 공감 방식인 인지 공감을 잘 모른 채 내뱉은 말일 가능성이 큽니다.
반대로
T 성향이 F 성향에게 "너 공감 못한다"는 말은 애초에 거의 안 하죠.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따로 있습니다.
똑똑한 T와 F는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을 모두 이해합니다.
미숙한 T는 인지 공감만 알고, 정서 공감을 이해하지 못하고
미숙한 F는 인지 공감을 이해하지 못해요.
그러다 보니"T는 공감을 못한다"라는 말이 돌게 된 것이죠.
기본적으로 공감이 발생되는 기전은
T 성향은 두 감정을 이해는 하지만 인지를 우선시하고 감정을 배제하고 선별적으로 공감하기에
기본적으로 인지 공감 성향이 강하게 보이는 것입니다.
정서와 감정을 우선시한다고 문제의 원인이 해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하지만, 문제의 원인 해결이 아닌 그 당시의 감정에 정서 공감을 해주길 바라는 게 F 성향입니다.
또한,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T 성향은 무조건적인 공감(무차별적인 공감)이 아닌
논리적으로 ‘공감할지 말지’를 먼저 판단함니다.
논리적으로 공감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야 공감합니다.
이 과정에서 감정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기 때문에,
공감을 못한다는 오해를 받기 쉬운 거죠.
근데 진짜로, 무조건적인 공감이 진짜 공감일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F 유형은 감정에 깊이 반응하는 성향 때문에
때로는 무조건적인 공감이나, 공감 강요를 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T 유형이 그런 공감 방식에 반응하지 않으면
“너 너무 공감 못한다”는 말을 내뱉을 수 있죠.
결국 중요한 건 MBTI 성향보다, 공감에 대한 이해 수준입니다.
공감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은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의 차이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즉, 문제는 T냐 F냐가 아니라,
그 사람이 공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거예요.
공감 능력이 지능의 일부라면?
앞으로는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너 T야?", "T는 공감 못하지."
이런 말은, 오히려 공감의 방식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 말이고, 공감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이 쉽게 내뱉는 말일 수 있습니다.
요즘은 이런 단편적인 말이 유행하고 있지만,
우리는 이제 그 너머를 봐야 합니다.
정서 공감이 강한 F 유형은
감정에 섬세하고, 사람의 감정을 작품이나 말로 풀어내는 데 뛰어난 재능이 있습니다.
예술, 감성적인 분야에서 그 능력이 빛을 발하죠.
이제는 MBTI를 단순히 성격 유형을 나누는 도구가 아니라, 서로 다른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도구로 바라봤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