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콘 별실시간 접속자 수
  •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슬롯시대 커뮤니티!

슬롯시대 고객님들과 함께 소통하는 공간입니다.
슬롯시대 커뮤니티에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함께하세요.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1

컨텐츠 정보

본문


 

 

지금이야 닭고기를 많이 먹지만 '꿩 대신 닭'이라는 표현이 쓰이게 된 배경이 있다고 함.

 

그 역사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감.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원래 우리 조상님들은 닭을 오래전부터 길렀지만 주로 알을 얻기 위해서였고, 고기 맛은 꿩을 더 쳐줬다고 한다....

 

실제로 당시 꿩이 선물로 오가거나 닭보다 싸게 팔렸다는 기록이 있음

 

이는 1894~1898년까지 한반도를 여행했던 비숍 여사의 기록에서도 살펴볼 수 있음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비숍 여사: 한강 근처에서 꿩 한 마리가 3~4펜스? 닭(4페니)보다 싸네!

 

 

 



그러던 중 일제 강점기로 들어서며 그 판도가 바뀜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조선총독부: 야, 조선! 달걀 많이 만들어야 하니까 닭 좀 많이 키워!

 

 

 

달걀을 많이 얻으려다 보니 닭을 더 많이 키우고, 알을 못 낳는 잉여 수탉들이 늘어가니까

잉여 닭들을 소비하여 닭고기를 많이 먹게 되는 일이 일어난거임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당시 동아일보에서는 양계 사업이 핫하다며 띄워주는 기사를 내기도 했음

 

하지만 1929년에도 사육하는 닭은 600만 마리에 그쳤는데, 이는 당시 닭고기 소비량이었던 1000만 마리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였음

 

즉 외국에서 닭고기의 수입도 활발했다는 뜻임.


이 무렵부터 닭요리는 활발하게 소개되었고, 『조선요리제법』,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같은 요리책에서도 많이 소개되었음.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일제강점기때부터 '꿩 대신 닭' | 인스티즈

별건곤(한국 대중잡지의 시초):

요즘 서울에선 연계탕이랑 갈비가 화제! 먹기 편해서 인기!

 

 

 

 

1920년대 중반, 서울에서 '연계탕' 이라는 메뉴가 등장한다.

 

이 연계탕이 우리가 오늘날 먹는 삼계탕과 유사하다는 설이 유력한데, 이는 1931년 동아일보 기사에서도 드러난다.

 

'닭 뱃속에 인삼과 찹쌀가루를 넣고 고는 닭국'

 

이것만 봐도 현재 우리가 접하는 삼계탕과 굉장히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음

 

 

 

 

 

결국은 일제의 달걀 생산 장려 정책이 닭고기 소비를 늘리고,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을 현실로 만들면서 삼계탕이라는 메뉴까지 탄생시킨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저녁으로 삼계탕은 어떨까?

 

전통 음식과 식재료의 변화, 일제강점기부터 꿩 대신 닭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48#none)

 

 

하지만 1929년에도 사육하는 닭은 600만 마리에 그쳤는데, 이는 당시 닭고기 소비량이었던 1000만 마리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였음
즉 외국에서 닭고기의 수입도 활발했다는 뜻임.
냉장닭이었나?

 

현재 닭은 35~38일 길러 출하되는데
당시 닭을 2달쯤 키워 출하했다고 가정해도
600만마리 키우면 1년에 천만마리 소비 가능할듯.

1849년 동국세시기에 떡국과 연계되어 나온 이후
꿩대신 닭이 좋은 게 없어 나쁜 걸로 대체한다는 뜻이 됐지만
원래는 정반대의 뜻이었다.
1820년 정약용의 이담속찬에 의하면
조선시대 꿩샤냥꾼이 철마다 꿩을 바쳐야 했는데
꿩이 잡히지 않는 철에는 할 수 없이
닭을 사서 바쳐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조선 중기에 꿩과 닭의 교환비가 3:1,
조선 후기에 1:1이 되었다는 걸 보면
공짜로 떼울 수 있는 걸 비싼 걸로 때운다는 게 원래 뜻이
조선말 닭이 흔해지면서 정반대로 바뀐듯 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보증업체 off보증업체 커뮤니티 off커뮤니티 홈 off 정보 off정보 로그인 off로그인
알림 0